반응형

도.대.체

 

이유가 뭘까.

 

1. popup 페이지 jsp단에서 jquery로 cookie 생성

$.cookie('DOWNLOAD_STATUS', 'in progress', {path:'/'});

 

2.  controller 불러서 modelAndView excel 객체로 return.

 

return 할 excel 객체 생성 시 

 

Cookie cookie = new Cookie("DOWNLOAD_STATUS", "complete");
	cookie.setHttpOnly(true);
	cookie.setPath("/");					// 모든 경로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
	response.addCookie(cookie);				// 쿠키저장

쿠키도 같이 생성하여 HttpServletResponse 에 추가. (response.addCookie)

 

3. jsp에서 cookie 값 확인

if($.cookie('DOWNLOAD_STATUS') == 'complete') {
   alert("성공");
}

 

4. 결과적으로 $.cookie('STATUS') == undefind

 

대체 왜??

 

크롬 개발자모드에서도 확실히 값이 확인되는데..

 

분명히 complete 라고 찍혀있지만 

개발자모드 console 에서 $.cookie('DOWNLOAD_STATUS'); 찍어보면 undefind로 나온다.

 

크롬 개발자모드 Application > cookies > 서버 주소로 들어가서 확인되는 쿠키를 찍었는데 undefind가 나온다고?...

이해가 안됨.

 

다음주에야 말로 문제 해결할것이다.

 

예상가능한 트러블로는

 

1. java단에서 HttpServletResponse 로 보내줬을때 jsp에서 잘 못받나?...뭔가 꼬이나?..

2. 데이터타입이 달라서 string으로 못읽어오나?..

 

이정도이다.

 

왜냐하면

 

관리자모드 Application cookies 에서 봤을 때 

1. jsp에서 cookie 생성했을때 --> 정상적인 값 (in progress)

2. java에서 jsp로 다시 넘어왔을때 ---> 정상적인 값 (complete)

 

인데... 넘어오고나서 콘솔로 쿠키찍어봤을 때 undefind 뜨는걸보니 ... 넘어올때 무슨 문제가 있던게 아닌가 싶다.

 

 

 

문제해결!!

Cookie cookie = new Cookie("DOWNLOAD_STATUS", "complete");
	cookie.setHttpOnly(false);              // true -> false로!!!!!
	cookie.setPath("/");					// 모든 경로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
	response.addCookie(cookie);				// 쿠키저장

httpOnly를 false로 바꿔주면..해결 ^^......

728x90
반응형

Edit Configrations... > Gradle Debug > Debug all tasks on the execution graph 체크

 

728x90
반응형

1. 톰캣 서버 한글설정 (VM options)

 

톰캣 서버돌릴때도 한글이 깨지므로 VM options 를 설정해야된다.

아래의 문구를 vm options에 저장

-Dfile.encoding=UTF-8

 

2. 일반 파일 한글설정 

일반 파일에서도 한글이 깨질때는 File > settings > Editor > File Encodings 에서 UTF-8 설정

728x90
반응형

문제상황)

부득이 SELECT, INSERT, UPDATE를 전부해야될 때 cursor와 반복을 활용하였다.

 

DECLARE

V_ID NUMBER;           	--id 담을 변수
V_GROUP_ID NUMBER;     	--group_id 담을 변수

CURSOR V_CURSOR			--CURSOR 정의
IS
    SELECT *
    FROM TABLE_1
    WHERE ID=XXX;
    
BEGIN

    FOR v_list IN V_CURSOR LOOP		--반복문 시작, 이때 v_list 는 별도 선언없이 바로 사용.
            
        --1. SEQ SELECT  			--특정 key 로 select 한 seq를 V_ID, V_GROUP_ID 에 삽입
        SELECT seq INTO V_ID FROM TABLE_2 WHERE key='XXX';
        SELECT seq INTO V_GROUP_ID FROM TABLE_3 WHERE key ='XXX';
         
        --2. SEQ INSERT		-- 위에서 정보가 삽입된 변수를 활용하여 insert
        INSERT INTO TABLE4 (ID, GROUP_ID) 
        VALUES (V_ID, V_GROUP_ID);
		 
        --3. OP_POINT UPDATE		
        UPDATE TABLE_5 
        SET seq = XX
        WHERE ID = v_list.ID		--CURSOR로 가져온 행이 들어가있는 v_list를 활용함
            AND TYPE = v_list.TYPE	--v_list.컬럼명 으로 호출가능
            AND NAME = v_list.NAME;
    END LOOP;
	
COMMIT;

END;

 

간단하게 FOR IN 형식의 반복문을 사용하였다.

 

DECLARE 에 CURSOR를 선언해주고 BEGIN 안쪽에서 FOR-IN 돌려서 활용하면 끝.

728x90
반응형

기존에 만들어져있는 SVN 저장소에 로컬 프로젝트 업로드하기

 

진짜- 많이 해멨는데 되게 간단하다

 

windows에서 업로드해야하는 프로젝트 폴더 우클릭 > svn import > 

만약 svn 저장소 URL 이 https://windev01:8443/svn/test  이며 

내가 올리고싶은 저장소 경로가 https://windev01:8443/svn/test/commit_test 일때 

 

Repository

URL of repository : https://windev01:8443/svn/test/commit_test 

 

이렇게 경로 넣어주면 test 경로안에 알아서 commit_test라는 폴더가 생기고 그 안에

해당 프로젝트가 commit 될것이다.

728x90

+ Recent posts